티스토리 뷰

운전을 하다 보면 교통 법규를 위반해 범칙금을 부과받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중요한 것이 바로 '교통범칙금 카드납부'입니다. 제때 납부하지 않으면 불이익이 따르기 때문에, 이번 포스팅에서는 교통범칙금 카드납부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안내드리겠습니다.

 

경찰청 교통민원 24

 

범칙금과 과태료의 차이

교통범칙금과 과태료는 모두 법규를 위반했을 때 부과되지만, 그 부과 방식과 대상이 다릅니다.

구분 과태료 범칙금
부과 대상 차량 소유주 위반 운전자
고지 방식 고지서 발송 벌금과 벌점 부과
예시 30km 어린이 보호구역 신호위반 → 13만원 범칙금 12만원 + 벌점 30점

 

교통범칙금은 경찰관이 직접 위반 사실을 확인하고 현장에서 부과되며, 대부분의 경우 벌점이 함께 부과됩니다. 이 벌점이 쌓이면 운전면허가 정지되거나 취소될 수 있습니다. 반면, 과태료는 무인 단속카메라에 적발된 경우 부과되며, 차량 소유주에게 부과되지만 벌점은 없습니다.

 

교통범칙금 및 과태료 조회 방법

교통범칙금을 납부하기 위해서는 먼저 이를 조회해야 합니다. 다양한 방법으로 조회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조회: 경찰청 교통민원 24

경찰청 교통민원 24웹사이트를 방문하거나 교통민원 24(이파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로그인 후 조회 항목에서 최근 단속내역, 미납과태료, 미납범칙금을 선택하고 차량 번호를 입력하면 됩니다.

 

경찰청 교통민원 24

 

유선 조회: 경찰민원콜센터

본인 명의의 휴대폰으로 ☎️ 182에 전화한 후 주민등록번호 입력으로 인증 후 조회 가능합니다.

 

경찰서 방문

가까운 경찰서를 방문하여 부과된 교통범칙금 및 과태료를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교통범칙금, 과태료 납부 방법

교통범칙금 및 과태료를 납부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

 

온라인 납부

경찰청 교통민원 24에서 조회 후 카드 결제 또는 계좌이체로 납부할 수 있습니다. 24시간 언제든지 가능하여 매우 편리합니다.

 

방문 납부

고지서를 지참 후 전국 은행이나 경찰서에 방문하여 납부 가능합니다.

 

납부 기한 준수

납부 기한 내 미납 시 가산금이 부과되므로, 가능한 한 빨리 납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교통범칙금, 과태료 할인 꿀팁

교통범칙금은 사전 납부 시 20% 할인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발부일로부터 10일 이내에 이의신청을 통해 할인 또는 면제받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과태료의 경우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수급자, 한부모가족 지원자 등에게는 50% 감경이 제공됩니다.

 

교통범칙금 카드납부를 통해 시간을 절약하고 불이익을 피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을 활용한 납부 방법도 있으니, 꼭 확인해 보세요.

 

교통범칙금과 과태료는 불이익을 피하기 위해 적시에 처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카드납부를 통해 간편하게 납부하시고, 미리 납부하여 할인 혜택도 누리세요. 교통법규를 지키는 것이 더 안전한 운전이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