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회전교차로 설계지침은 교차로의 안전성과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개정된 중요한 지침입니다. 2022년 8월부터 시행된 이 지침은 교통소통을 원활하게 하고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한 여러 규정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회전교차로 설계지침의 주요 내용과 그 의의를 살펴보겠습니다.

 

원문 다운로드 하기

 

회전교차로 설계지침의 주요 목적은 교차로의 안전성과 원활한 교통소통을 도모하는 것입니다. 회전교차로는 자동차가 중앙의 원형 교통섬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교차부를 통과하는 평면교차로의 일종으로, 진입하는 자동차는 회전차로에서 주행하는 자동차에게 양보해야 합니다. 이로 인해 상충 횟수가 적고, 저속으로 운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교통사고의 위험성을 줄이는 데 기여합니다.

 

회전교차로의 기능을 살펴보면, 신호등 없이 정차하지 않고 저속으로 운행하도록 유도하여 교통소통을 원활하게 합니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교통안전도 크게 향상됩니다. 특히, 2차로형 회전교차로는 기존에 비해 사고 감소 효과가 낮아 새로운 유형이 제안되었습니다.

 

신규 유형으로는 차로축소형, 나선형, 차로변경 억제형이 있으며, 각 유형은 교통량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교통량이 2,000대/시 이하인 경우 차로축소형 회전교차로를 우선 고려하며, 교통량이 2,600 ~ 3,200대/시인 경우에는 차로변경 억제형을 추천합니다. 이러한 설계지침은 현장 여건에 맞춰 설치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또한, 초소형 회전교차로 신설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도심 주택가에서의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해 지름 12m의 초소형 회전교차로를 설계할 수 있습니다. 고원식 횡단보도를 설치하여 통행 속도를 저감하고, 대형 차량이 통행할 수 있도록 중앙교통섬의 경사를 완만하게 설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지막으로, 과속 방지턱 형태의 고원식 횡단보도를 의무화하고, 진입차로에는 '양보' 문구를 표시하여 회전차량의 우선권을 강조하는 규정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지침들은 모두 회전교차로 설계지침의 핵심 요소로, 안전한 교통 환경을 조성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입니다.

 

회전교차로 설계지침은 교통사고를 줄이고 원활한 교통소통을 위한 중요한 지침입니다. 다양한 유형의 회전교차로 설계를 통해 현장에 맞는 최적의 솔루션을 제시하고, 안전한 도로 환경을 만들어 나갈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이러한 지침을 준수한다면 우리 모두가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교통 환경을 누릴 수 있을 것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회전교차로 설계지침 2022회전교차로 설계지침202208_파트1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원문 다운로드 하기

 

다운로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