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투표 모바일 신분증 사용법, 투표소 위치 확인 방법 알려드림
블로거1027 2024. 7. 5. 12:08안녕하세요! 오늘은 2024년 제 22대 국회의원선거와 관련된 '투표 모바일 신분증 '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투표에 필요한 준비물 중 하나인 이 모바일 신분증은 어떻게 사용되며, 어디에서 어떻게 확인할 수 있는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투표 모바일 신분증이란?
2024년 국회의원선거에서는 전통적인 신분증 외에도 모바일 신분증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PASS앱이나 카카오톡 지갑과 같은 모바일 플랫폼을 통해 제시할 수 있으며, 실제 앱을 실행하여 신분증 정보를 확인해야 합니다. 캡쳐본이나 이미지 저장된 모바일 신분증은 인정되지 않으니 유의하셔야 합니다.
투표할 때 반드시 필요한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의 공공기관 발행 신분증 외에 이 모바일 신분증을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투표 소 위치 확인 방법
선거를 앞둔 시점에서 사전투표 소와 선거일 투표소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사이트 확인 : 2024년 3월 25일부터 사전투표 소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3월 31일부터 선거일 투표소 위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지도와 카카오맵 이용 : 네이버지도에서는 투표소 아이콘을 확대하여 확인하거나, 투표소를 검색하여 위치를 찾을 수 있습니다. 카카오맵에서는 테마 검색을 통해 투표소를 선택하거나 검색할 수 있습니다.
사전투표 기간과 시간 : 사전투표 는 2024년 4월 5일부터 4월 6일까지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가능합니다. 이 기간 동안 전국 어디에서나 사전투표 가 가능하니 시간을 잘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선거일과 투표 시간 : 선거일은 2024년 4월 10일이며, 오후 6시까지 투표가 가능합니다. 본인의 주소지 내 지정된 투표소에서만 투표할 수 있습니다.
투표용지와 투표방법
투표용지는 하얀색과 연두색으로 구분됩니다.
- 하얀색 투표용지는 지역구 국회의원을 선택하는 데 사용됩니다.
- 연두색 투표용지는 비례대표 정당을 선택하는 데 사용됩니다.
재보궐 선거가 있는 경우 추가 투표용지를 받게 됩니다.
관내선거인과 관외선거인의 차이
- 관내선거인 : 주소지 내 지정된 투표소에서 투표 가능.
- 관외선거인 : 주소지 외 특정 투표소에서 투표 가능. 이 경우 투표 절차에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투표용지 바코드 확인
사전투표 용지에는 바코드가 인쇄되어 있어, 투표용지의 정보를 확인하는 데 유용합니다.
이상으로 2024년 제 22대 국회의원선거에 대한 '투표 모바일 신분증 ' 사용 안내를 마치겠습니다. 투표에 필요한 준비물과 투표소 위치 확인 방법 등을 상세히 살펴보았습니다. 앞으로의 선거일을 준비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투표 소 위치 및 시간
정보 | 내용 |
사전투표소 확인 기간 | 2024년 3월 25일부터 |
선거일 투표소 확인 기간 | 2024년 3월 31일부터 |
사전투표 기간 | 2024년 4월 5일(금)부터 4월 6일(토)까지 |
사전투표 시간 |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
선거일 | 2024년 4월 10일(수) |
선거일 투표 시간 | 오후 6시까지 |
투표방법 및 신분증 요구사항
정보 | 내용 |
투표용지 색상 | 하얀색(지역구 국회의원), 연두색(비례대표 정당) |
필요한 신분증 |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공공기관 발행 신분증 |
모바일 신분증 사용 가능 앱 | PASS앱, 카카오톡 지갑 |
모바일 신분증 인정 | 캡쳐본 및 이미지 저장된 것은 인정되지 않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