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국민연금을 받기 위해서는 최소 10년간 보험료를 납부해야 합니다. 수령 조건을 채웠다면 60~65세부터 평생동안 매달 연금을 받게 됩니다. 연금을 오래 낼수록 연금 수령액도 그만큼 더해집니다.

 

조회 - NPS 전자민원 서비스 - 국민연금공단

 

공인인증서 없이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 내 국민연금액 알아보기 방법

  1. 국민연금을 검색합니다.
  2. 국민연금관리공단 홈페이지에서 자주찾는 민원서비스를 클릭합니다.
  3. 왼쪽 하단에 있는 "내연금 알아보기 "를 클릭합니다. 인증없이 간단하게 예상연금 알아보기 가 있는데, 여기에는 인증없이 확인할 수 있는 예상연금 모의계산과 예상연금 간단조회 두 가지 항목이 있습니다.

 

예상연금 간단조회 방법

  1. "내연금 알아보기 "에서 예상연금 간단조회를 클릭합니다.
  2. 월 납입 보험료 항목에 보험료를 입력합니다.
  3. "예상연금액 조회하기"를 클릭하면 소득기준과 함께 연금별 지급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상연금 모의계산 항목

  1. 기본정보 및 소득, 크레딧 대상 입력 후 "결과보기"를 클릭해 예상연금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다만 실제 가입이력을 기초로 한 보다 정확한 예상연금액은 인증을 한 후에 예상연금조회 서비스를 이용하면 됩니다.
  2. 만 60세 이상은 가입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계산할 수 없으며, 최소 가입기간이 10년이 되어야 합니다.
  3. 예상연금 모의계산 항목은 최장 만 60세까지 납부한다는 가정 하에 계산되기 때문에 이 점은 참고해야 합니다.

 

공인인증서를 통한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 내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

  1. 국민연금 홈페이지에서 자주찾는 민원서비스를 클릭합니다.
  2. "내연금 알아보기 "를 클릭합니다.
  3. 인증을 한 후 "내연금 알아보기 " 항목에서 예상연금액 조회를 클릭하면 예상수령액이 나옵니다. 이 또한 최소 가입기간인 10년이 되어야 합니다.

 

국민연금 예상연금월액표를 통한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 내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

국민연금 예상연금월액표로 알아보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 표는 지금까지 낸 보험료를 토대로 미래 예상되는 가입기간을 적용하여 예상수령액을 추정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현재 내고 있는 보험료를 토대로 미래 지급받을 수 있는 연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국민연금 노령연금을 받는 연령은 고령화 추세를 반영하여 변화하고 있습니다.

국민연금 예상수령액을 알아보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공인인증서를 통한 방법과 인증 없이 간단히 조회하는 방법 등이 있으며, 이를 통해 내가 미래에 받게 될 연금액을 사전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꼭 필요한 정보이니 국민연금을 받는 사람이라면 꼭 확인해보시기를 권해드립니다.

내 국민연금액 알아보기 방법 내용
공인인증서 없이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 방법 - 국민연금 홈페이지에서 자주찾는 민원서비스 클릭- "내연금 알아보기"를 클릭하여 예상연금액 조회
- 예상연금 간단조회 방법 - 내연금 알아보기에서 예상연금 간단조회 클릭- 월 납입 보험료 입력 후 조회
- 예상연금 모의계산 항목 - 기본정보 입력 후 결과 확인- 가입대상 및 가입기간 확인
공인인증서를 통한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 방법 - 국민연금 홈페이지에서 자주찾는 민원서비스 클릭- "내연금 알아보기"를 클릭하여 인증 후 예상연금액 조회
국민연금 예상연금월액표를 통한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 방법 - 국민연금 예상연금월액표를 활용하여 예상수령액 확인
- 노령연금 연령별 변화 - 연령별로 예상 수령액의 변화 확인 가능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