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024년 국민연금 요율, 기준소득월액, 인상률 정보 알아보자
블로거1027 2024. 2. 23. 01:292024년 국민연금 에 관한 중요한 정보를 소개합니다. 국민연금 은 많은 근로자와 사업주가 관심을 가지는 주제 중 하나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4년 국민연금 에 대한 주요 내용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2024년 국민연금 요율
2024년 국민연금 요율 은 다음과 같습니다:
국민연금
- 전체 요율: 9.0%
- 근로자 부담: 4.5%
- 사업주 부담: 4.5%
건강보험
- 요율 계산 방법: 보수월액 * 보험요율(7.09%)
- 근로자 부담: 3.545%
- 사업주 부담: 3.545%
고용보험
- 요율: 1.8%
- 근로자 부담: 0.9%
- 사업주 부담: 0.9%
산재보험
- 근로자 평균 보수 * 보험요율에 따라 부담 없음
- 사업주 부담: 100%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
2023년 7월 1일부터 2024년 6월까지 적용되는 국민연금 기준 월소득월액은 다음과 같이 조정됩니다:
- 상한액: 590만 원
- 하한액: 37만 원
기준소득월액은 가입자의 실제 소득을 반영하며, 최고 보험료는 531,000원으로 인상되고, 최저 보험료는 33,300원으로 인상됩니다.
기준소득월액 인상 추이
기준소득월액은 연도별로 조정되며, 최근 몇 년간의 인상률은 다음과 같습니다:
- 2019년: 3.8%
- 2020년: 3.5%
- 2021년: 4.1%
- 2022년: 5.6%
- 2023년: 6.7%
2023년부터 2024년 으로 넘어갈 때 상한액은 37만 원 증가하고, 하한액은 2만 원 인상됩니다. 국민연금 보험료 역시 상승하여 최고는 33,000원, 최저는 1,800원 인상됩니다.
사업장 가입자의 기준소득월액 결정 방법
사업장 가입자의 기준소득월액은 사용자가 근로자에게 약정한 금액으로 결정되며, 가입 기간 중의 기준소득월액은 전년도 중 당해 사업장에서 얻은 소득총액을 근무일수로 나눈 금액의 30배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결정됩니다. 이 기준소득월액은 7월부터 6월까지 적용되며, 가입자의 실제 소득을 반영합니다.
2024년 국민연금 에 대한 정보를 정리하였습니다. 국민연금 요율, 기준소득월액, 인상률 등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근로자와 사업주 모두에게 유용한 정보로 적용될 것입니다.
구분 | 요율(전체) | 근로자 부담 | 사업주 부담 |
국민연금 | 9.0% | 4.5% | 4.5% |
건강보험 | 7.09% | 3.545% | 3.545% |
고용보험 | 1.8% | 0.9% | 0.9% |
산재보험 | 다양 | 없음 | 100% |
기준소득월액 | 상한액 | 하한액 | 국민연금 보험료 (최고/최저) |
2023년 | 590만 원 | 37만 원 | 531,000원 / 33,300원 |
2024년 | 590만 원 | 37만 원 | 531,000원 / 33,300원 (예상) |
이를 통해 국민연금 에 대한 이해와 납부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댓글